연산자 

: +, -, *, /

 

피연산자 

: 연산자의 수행 대상 

 

 

연산자의 종류 

! : 반대 의미

and : & &&

or : | ||

 


연산자의 우선순위

기본 사칙연산

대입과 단항연산자만 ← 방향
산술 > 비교 > 논리 > 대입


증감연산자

증가연산자 ( ++ ) : 피연산자(대상)의 값을 1증가 시킴

감소연산자 ( -- ) : 피연산자(대상)의 값을 1감소 시킴

※ 단항연산자 : 피연산자(대상)이 1개 인 것.

 

 

앞에 붙으면 전위
뒤에 붙으면 후위

 

 

※ 독립적으로 사용시  :   ++i,  i++   전위, 후위는 차이가없다.

 

 

햇갈리면 분리해서 생각하기

전위형 ( ++i ) 후위형 (( i ++ )
++ i ;

 j = i ;
j = i ;

i ++ ;

예시)

 

 

부호연산자

 - 는 피연산자의 부호를 반대로 변경

 + 는 변화없음 (사용x)

 


형변환이란?

 : 변수 or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

(타입) 피연산자 

 

 

 

형변환 예

 

유니코드 문자표 ( 100만개 ㄷㄷ)

 


캍은 타입끼리만 계산가능

예시) 10/4 =2  (해결방법) 한쪽을 실수로 float or double

 

 

산술변환 :

   1. 연산 전에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 시킴. (큰타입 쪽으로)

   2. 피연산자의 타입이 int보다 작은 타입이면 int로 변환된다.

  예시)

 '2' - '0' = 2  

 

어떻게?

'2' 와 '0' 이 char 타입으로,   int형으로 바뀜. 

char 타입 2와 0을 int로 변환하면,  50 - 48 이되어 계산결과는 2가된다.

 

그래서, 일전 문자 ('2')을 숫자로 변환시 ('0')을 뺐엇는데,

int로 먼저 산술 변환이 된다음 계산이 되어서 그런것.


실수를 소수점 첫 째자리에서 반올림한 정수를 반환 - Math.round()

Math.round(4.52);  =>   5

 

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하기

 

나머지 연산자

 : 나머지 연산자는 정수만 허용 ( 부호는 무시됨 )


비교 연산자

반드시 등호( > ) 먼저 나와야함 !

문자열비교시에는 equals()를 사용해야함

비교연산자 연산결과
> 좌변 값이 크면 true  아니면 false
< 좌변 값이 작으면 true  아니면 false
>= 좌변 값이 크거나 같으면 true  아니면 false
<= 좌변 값이 작거나 같면 true  아니면 false
== 두 값이 같으면, true 아니면 false
!= 두 값이 다르면, true 아니면 false

논리연산자 

|| : (or 결합) 한쪽만true여도 = true

&& : (and결합) 양쪽 모두 true 여야 = true

 

 

논리부정연산자 

! : true, false를 반대로함

예시)

     boolean b = true;

   !! b : ?            // true

단한연산자이기에 ←방향

 

 

 

 

조건연산자

예시) 

result = ( x > y ) ? x : y ;

result = ( 5 > 4 ) ? 5 : 4 ;

result = 5;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대입연산자 

 

전반적인 프로그램에서 저렇게 부른다.

lvalue 는 (저장공간) 변수 or 배열 이어야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복대입연산자 

 

op= 과 = 은 같은의미

=컬럼을 op=으로 짧게 표현 

 

 


출처 : 남궁성의 정석코딩

https://www.youtube.com/@MasterNKS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