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, AWS 서버구축

1. AWS란?   

 : Amazon이 제공하는 cloud service.

 관리가 쉽고 빠르게 유연한 확장성이 장점.

필요할때만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지불


2. AWS 가입 ( https://aws.amazon.com/ko/free )

 : 최초 가입시 12개월 동안 프리티어 계정(무료계정) 사용가능

 단, 무료 사용량을 초과하면 과금될 수 있음.


3. Amazon EC2 ( https://aws.amazon.com/ko/ec2/ )

 :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터 용량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

  웹 호스팅

   VM 가상머신 사용하여 윈도우 및 톰켓 설치

 

Amazon S3 : 확장성(필요시 더많은공간 사용가능)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가용성(저장공간을 여러서버에서 공유가능)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내구성(데이터 깨지면 복구해줌)을 가진 데이터 저장공간(Simple Storage)을 제공

 

Amazon RDS : 관계형 DB관리 서비스.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관계형 DB(MySQL, Oracle 등)을 모니터링, 주기적 백업

※ 관련용어
on_premise : 서버를 직접 운영하는 방식  or   대형 IDC(Internet Data Center) 사용
Serverless : 서버 작업을 서버내부가 아닌 클라우드 서비스로 처리 ( Amazon RDS 같이 이용 )
Region : 데이터 센터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곳.
CDN(Content Delivery Network) : 정적 리소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게 전세계의 캐시서버에 복제해주는 서비스

 

 


2. AWS서버에 톰켓설치

 


3.  개인PC → (가상)원격AWS서버의 톰켓 접속하기

 

1. AWS서버PC의 windows 방화벽을 열어줘야함.


2. AWS에서도 방화벽을 열어줘야함

 


출처 : 남궁성, 스프링의 정석

 

+ Recent posts